*2011년 해돋이 명소/10대 해돋이 명소/서울 해돋이/일출-가족과 연인과 해돋이
한 해에 단 한번 밖에 오지 않는 가슴 벅차고 설레는 순간을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보낼 수 있는 기회! 2011년, 새로운 해가 떠오르는 두근두근 해돋이 여행
1위-해남 땅끝마을
2위-성산 일출봉
3위-정동진
4위-호미곶
5위-추암 촛대바위
6위-간절곶 등대
7위-왜목마을
8위-향일암
9위-하조대
10위-금산 보리암
기타 해돋이 명소
1위-해남 땅끝마을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갈두부락(땅끝마을)은 한반도 최남단인 북위 34도 17분 21초에 위치하고 있다. 땅끝마을은 2006년도 가보고 싶은곳 1위, 2008년도 한국 지방자치 브랜드마을 대상을 차지하였으며, 1986년 국민 관광지로 지정되었고 매년 100만명 이사이 찾는 유명한 관광지이다.땅끝마을은 전국 최고의 일출명소로도 유명하다. 그림 같은 바다를 배경으로 떠오르는 일출은 우리나라 땅끝에서 본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한다. 특히, 땅끝마을에서는 왜목마을(충남 당진군)과 함께 일출뿐만아니라 일몰도 함께 볼 수 있어 더욱 좋다.땅끝마을에서는 매년 12월 31일 오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8시 30분까지 해넘이 행사로 해넘이제, 땅끝 가요콘서트, 줄굿 참여체험, 함께 뛰어보는 강강술래, 한해의 아쉬움을 접고 새해를 기원하는 촛불의식, 달집태우기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소재지-전남 해남군 송지면 갈두리
*연락처-061-533-9324(땅끝관광지 관리사무소)
*홈페이지-해남 땅끝마을(http://www.openland.or.kr/)
2위-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은 제주도 동쪽에 돌출한 성산반도 끝머리에 있는 높이 182m의 화산이다. 그 모습이 마치 거대한 성과 같다 하여 성산이라 하며, 해돋이가 유명하여 일출봉이라고 한다.
성산일출봉은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빠지지 않고 방문하는 유명한 관광지이며, 특히 2007년6월 제주도의 한라산, 용암동굴과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더욱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이곳은 전국의 해돋이 명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일출봉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해돋이 광경은 예로부터 영주10경의 하나로 꼽혀왔다.
매년 1월1일 성산일출제가 열리며, 세계자연유산 탐방, 송년 가요제, 동아리 공연, 청소년 페스티발, 알뜰마당(벼룩시장), 지신밟기, 이벤트 프로그램, 새해맞이 행사, 일출기원제, 해맞이 행사, 새해맞이 올레걷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재지-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연락처-064-784-0959
*홈페이지-성산일출봉-사이버제주(http://cyber.jeju.go.kr)
3위-정동진
정동진은 전국에서 최고의 해돋이 명소로 손꼽히고 있다. 인기 TV드라마 '모래시계'의 촬영장소로 유명한 정동진의 해돋이 열차는 몇 달전부터 표가 모두 매진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정동진역은 세계에서 바다와 제일 가까이에 있는 역으로도 유명하다.
정동진 모래사장에서 보는 일출도 아름답지만 바다 위에서 바라보는 선상일출은 또 다른 체험이 될 것이다. 일출이외에도 해풍에 비스듬히 누운 소나무, 철도를 적실듯 가까운 맑고 푸른 동해, 깍아지른듯한 절벽, 해안도로, 철뚝길을 따라 피어나는 야생화 등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의 아름답고 수려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정동진은 겨울 출사지로도 추천할 만하다. 한편, 정동진에서는 매년 1월1일 모래시계공원에서 모래시계 회전행사와 해돋이 행사를 하고 있다. 축제 내용은 연예인 콘서트, 락페스티발, 불꽃놀이, 수영대회, 즉석노래자랑 등이다.
*소재지-강원도 강릉시 강릉면
*연락처-033-640-4536
*홈페이지-정동진역(http://www.jeongdongjin.co.kr)
4위-호미곶
경북 포항시 호미곶은 한반도 남동부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호랑이 꼬리 부분)에 자리잡고 있으며, 원래 생김새가 말갈기와 같다 하여 장기곶으로 불렀다. 호미곶은 우리나라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매년 1월1일 해돋이축제가 열리고 있어 많은 사진사와 관광객들이 방문한다. '상생의 손'이라고 불리는 바다속에반쯤 잠겨있는 손모양의 조형물에 떠오르는 해가 걸리면 손으로 해를 밀어 내는 듯한 장관을 연출한다.
제12회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축전은2009년12월31일~2010년1월1일 간 호미곶 해맞이 광장 일원에서 열린다. 행사기간 중 지역문화공연, 문화예술경연, 신년맞이 경축행사, 뮤직 불꽃쇼, 해오름음악회, 전국연날리기대회, 1만명분 떡국 만들기, 함께하는 새해 퍼포먼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관광유람선도 운항한다.
*소재지-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보면
*연락처-054-284-5026
*홈페이지-호미곶마을(http://homigot.invil.org/)
5위-추암 촛대바위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 추암해수욕장 근처 해안에 있는 추암 촛대바위는 바다에서 솟아 오른 형상의 기암괴석으로 그 모양이 촛대와 같아 촛대바위라 불린다. 촛대바위 주변에 솟아오른 거북바위, 두꺼비바위 부부바위, 코리끼바위, 형제바위 등의 기압괴석은 동해바다와 어울려져 절경을 연출한다. 전설에 의하면 추암에 살던 한 남자가 첩을 얻은 뒤 본처와 첩 간의 투기가 심해지자 하늘이 벼락을 내려 남자만 남겨좋았는 데. 이때 혼자 남은 남자의 형상이 촛대바위라고 한다.
주암 촛대바위는 예로부터 영동지방의 절경으로 손꼽혔으며, 특히 해돋이 무렵 태양이 촛대바위에 걸리는 모습이 장관을 이루어 해돋이 출사지로서도 각광받고 있다. 주암 촛대바위의 일출은 TV에서 애국가의 첫 소절이 방송될 때 등장하여 더욱 유명해 졌다.
촛대바위는 사시사철 언제든 뛰어난 해돋이를 연출하며, 촛대바위 일출사진을 제대로 찍으려면 촛대바위 앞 작은 동산에 자리를 잡는 게 좋다.
*소재지-강원도 동해시 추암동
*연락처-033-532-2801
*홈페이지-추암촛대바위 관광정보(http://korean.visitkorea.or.kr)
6위-간절곶 등대
간절곶은 동북아지역에서 떠오르는 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영일만의 호미곶보다 1분 빠르게, 강릉의 정동진보다도 5분 빨리 일출이 시작된다.
주위에 있는 울산 지역의 진하해수욕장, 서생포 왜성과 함께 새로운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어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흰색의 간절곶등대는 바다를 바라보고 우뚝 서있으며, 등대 앞은 소나무 숲인데, 울창하지는 않지만 꼬불꼬불한 모양이 정겹다.
매년 1월1일 간절곶에서는 해맞이 축제를 개최해 널뛰기, 연날리기 등 각종 민속행사를 열고 가수를 초청해 노래자랑 등을 하면서 시민의 안녕과 번영을 축원한다.
*소재지-울산 울주군 서생면 대송리
*연락처-052-229-7000
*홈페이지-간절곶해맞이축제(http://ganjeolgot.ulsan.go.kr/)
7위-왜목마을
충남 당진군 석문면 교로리에 위치한 왜목마을은 왜가리의 목처럼 불쑥 튀어나온 모습이라고 해서 '왜목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원래 왜목마을은 조용하고 한적한 어촌이었는데, 서해안에서 바다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알려지면서 유명해지게 되었다. 왜목마을은 전남 해남군 땅끝마을과 함께 일출과 일몰을 모드 볼 수 있으며, 일출, 일몰과 월출까지 모두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는 장소로서는 왜목마을이 전국에서 유일하다.
마을 뒷편의 작은 동산인 석문산(79.4m)은 일출 및 일몰 감상포인트이다. 일몰은 이 곳에서만 볼 수 있으므로 일출, 일몰 사진을 잘 찍으려면 석문산에 올라가야 한다.
왜목마을의 일출은 동해에서 해가 뜬뒤 5분 만에 일어나며, 동해의 일출은 장엄하고 화려한 반면 서해의 왜목마을 일출은 소박하면서 서정적이다. 왜목마을은 매년 12월31일부터 1월1일간에 해맞이행사를 개최하며, 불꽃놀이, 도자기 빚기 체험,관광객 장기자랑 등이 준비돼 있다. 이곳은 전국 일출명소 중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어 관광객과 사진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특히, 해사 국화도 위로 뜨는 7월과 장고항 틈 사이로 떠오르는 1월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소재지-충남 당진군 석문면 교로리
*연락처-041-350-3224
*홈페이지-왜목마을(http://www.waemok.org/)
8위-향일암
원효대사가 659년에 창건한 전라남도 여수시의 향일암은 '해를 바라본다'는 뜻에서 그 이름이 붙여졌다.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위치한 이 절은 금오산 기암절벽 사이의 울창한 동백나무와 남해의 수평선에서 솟아오른 일출 광경이 천하일품이다. 향일암은 일출 뿐만 아니라 일몰 명소로도 알려져 전국 각지에서 관광객들과 사진작가들이 찾아 오고 있다.매년 12월31일부터 1월1일간 해맞이행사로 '향일암 일출제' 행사가 열린다. 이 축제는 해넘이 감상, 송년길놀이, THEME 영상, 염원의불 점화, 창작예술극, 소망촛불의식, 희망연 엮어 날리기, 제야의 종 타종. 캠프파이어, 강강수월래, 대동한마당, 천고 비나리 기원무, 일출기원 제례, 친환경풍선날리기, 새해 작은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로 구성되어 있다.
*소재지-전남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7
*연락처-061-644-4742(향일암)
*홈페이지-향일암(http://www.hyangiram.org/), 여수 향일암 일출제
9위-하조대
하조대는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의 절벽위에 있는 작은 육각형(1955년 건림)이다. 이 곳은 파도가 넘실대는 해변, 우뚝 솟은 기암절벽, 수십년된 해송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경송지이며, 인근에 하조대해수욕장이 있다. 기암절벽과 오래된 해송을 배경으로 하는 하조대 일출은 아름답고 장엄하기로 유명하며 관광객들과 사진애호가들이 많이 찾고 있다.
*소재지-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
*연락처-033-670-2518(관리소)
*홈페이지-하조대(http://www.hajodae.org/)
10위-금산 보리암
경남 남해군의 금산 보리암은 전국의 3대 기도처의 하나이며, 양양 낙산사 홍련암, 강화군 보문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관세음보살 성지에 포함된다. 보리암은 일출과 일몰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해와 바다,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보리암의 일출은 기하 환상적이다. 해가 솟아 오르면 남해의 복잡한 해안선이 그림처럼 나타나고 곳곳에 떠 있는 작은 섬들이 햇빛을받아 보석처럼 아름답게 반짝인다. 화엄봉까지 올라가서 보리암 일출사진을 찍으면 멀리 떨어진 다도해에서 보리암까지 비치는 빛의 실루엣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소재지-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연락처-055-862-6115
#기타 해돋이 명소
(서울 인근 해돋이 명소)
*마포구 하늘 공원-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482번지
-시간:2011년1월1일 오전 7시27분(예정)
-http://worldcuppark.seoul.go.kr/
*영등포 선유도 공원-서울시 양화동 95번지
-시간:2011년1월1일 오전7시27분(예정)
*아차산-서울시 광진구 광장동 아차산
-http://www.gwangjin.go.kr/achasan/
(강원도)
*고성군-대진항
*양양군-낙산사
*강릉시-경포해수욕장, 경포대
*속초시-속초해수욕장
*태백시-태백산 천제단
(부산/울산)
*부산시-해운대해수욕장, 태종대, 동백섬
*울산시-대왕암공원
(경상남도)
*산청군-지리산 천왕봉
(경상북도)
*영덕군-삼사해상공원, 해맞이공원
*경주시-대왕암(문무대왕릉), 토함산 석굴암
*울릉군-내수천 일출전망대
*안동시-일출봉
*영천시-보현산 정상
*영양군-일월산 정상
*울진군-망양정 해맞이 공원
(전라도)
*구례군-지리산 노고단(전남)
*진안군-마이산(전북)
#일출 사진 촬영 Tip
일출 장면을 분위기있게 담아내기 위해선 태양과 풍경을 잘 구상해서 셔터를 누르도록하며 측광은 Spot 측광으로 세팅하여 태양을 직접 측광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셔터후 이동이라는 테크닉을 사용합니다. 태양을 화면의 중앙에 놓고 반셔터를 잡고 반셔터를 유지하면서 카메라를 이동시켜 원하는 앵글을 잡고 셔터를 누르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사진의 노출은 스팟측광을 한 태양에 맞춰지며 구도는 셔터를 누르기전 맞춘 원하는 구도의 사진을 찍을수 있습니다.
반셔터후 이동이라는 테크닉은 사진촬영의 기본중의 기본이며 태양에 노출을 맞출겨우 태양은 적절한 노출로 표현되며 주변 풍경은 검은 실루엣으로 한 인상적으로 사진에 찍힙니다.
#일출시간 미리보기
*강름-07:40(일출)17:16(일몰)
*대관령-07:40(일출)17:17(일몰)
*동해-07:38(일출)17:16(일몰)
*경주-07:33(일출)17:20(일몰)
*포항-07:33(일출)17:19(일몰)
*거제-07:33(일출)17:25(일몰)
*남해-07:36(일츨)17:28(일몰)
*통영-07:34(일출)17:25(일몰)
*영덕-07:34(일출)17:17(일몰)
'햇살 담는 보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식주 (0) | 2011.01.05 |
---|---|
지역별 해돋이 명소 (0) | 2011.01.01 |
'울지마 톤즈', 한국가톨릭매스컴상 대상에 (0) | 2010.12.25 |
12월 즈음에 (0) | 2010.12.24 |
꿈을 이루는 두가지 방식 (0) | 201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