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작가권영애의 건강노트 KH

한지작가권영애

한지작가 권영애의 건강노트KH

스크랩

[스크랩] 색채지각과 감정효과

한지톡톡권영애 2017. 4. 8. 09:30
▶색의 명시성

색의 주위의 색과 얼마나 구별이 잘 되느냐에 따라 잘 보이는 색과 잘 보이지 않는 색이
있기 마련이다.
얼마만큼 잘 보이는가를 명시성 또는 가시성이라 하며, 그정도에 따라 가시도가 높거나 낮다.
명시성은 그 색 고유의 특성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배경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검정색 배경일때는 노란, 주황이 명시도가높고, 자주, 파랑 등은 낮으며, 흰색 배경일때는
이와 반대이다.
유채색끼리일 때는 노랑, 주황과 파랑, 자주와의 관계가 명시도가 높다. 명시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조건은 명도차를 크게 하는 것이다.

▶색의 주목성

주목성은 색이 우리의 눈을 끄는 힘을 말하는데, 명시도가 높은 색은 어느 정도 주목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고명도, 고채도의 색과 또 한색보다 난색이 주목성이 높다.

▶색의 운동감

어느 정도 떨어져서 보면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색이라도 어떤 색은 앞으로 튀어나와
보이고 어떤 색은 뒤로 물러나 들어가 보인다. 이처럼 앞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색을 진출색,
뒤로 물러나 보이는 색을 후퇴색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난색계는 진출색, 한색계는 후퇴색으로 밝은 색이 어두운 색보다 진출한다.

▶색의 면적감

같은 모양 같은 크기라도 색에 따라서 크게 보이기도 하고 작게 보이기도 한다. 이와같은
지각현상을 팽창색이라든가 수축색이라고 부르고 있다.
팽창색은 실제 크기보다 팽창되어 커 보이는 색을 말하며, 수축색은 실제크기보다 작게
보이는 색을 말한다. 밝은 색일수록 팽창성이 있고, 어두운 색일수록 수축성이 있다.

▶색의 온도감

온도감은 색상에 의한 효과가 극히 강하다.
따뜻해 보인다고 느끼는 색을 난색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적극적인 효과가 있으며,
추워보인다고 느끼는 색을 한색이라고 하며, 진정적인 효과가 있다. 중성은 난색과
한색의 중간으로 따뜻하지도 춥지도 않은 성격으로 효과도 중간적이다.
온도감은 색상에 의한 효과가 극히 강하다. 저채도, 저명도는 찬 느낌이 강하며, 명도,
채도가 낮은 경우엔 빨강색도 차갑게 느낀다고 한다.

▶색의 중량감

색채에서 색의 밝기가 어두움에 따라 무거움과 가벼움을 느낀다. 이는 색의 명도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명도가 낮은 색은 무겁게 느껴지며 명도가 높은 색은 가볍게 느껴진다.
색채의 중량감은 색상보다는 명도의 차이가 크게 좌우되는 것이다.

▶색의 경연감

시각적 경험에 의해 색채가 딱딱하게 느껴지는 색과 부드럽게 느껴지는 색이 있다. 이것을
색채의 경연감이라고 한다. 경연감은 명도와 채도에 영향을 받는다. 명도가 높고 채도가
낮으며 난색의 색들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중명도 이하로 명도가 낮고 채도가 높으며
한색의 색들은 딱딱한 느낌을 준다.
출처 : ♤열린한지공예♤
글쓴이 : 열린한지 원글보기
메모 :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도와 채도  (0) 2017.04.08
[스크랩] 색의 혼합  (0) 2017.04.08
[스크랩] 색채심리  (0) 2017.04.08
[스크랩] 색의 연상과 상징  (0) 2017.04.08
[스크랩] 색채의 공감각  (0) 2017.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