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회복과 간 기능을 활성시키는 단백질이 타우린이다.
타우린은 체내에서 메티오닌과 시스테인에 의해 합성되는 동물성 단백질이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은 간에서 담즙산을 포함시켜 장으로 배설시킴으로서 섭취된 지방의 흡수를 돕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타우린은 뇌 발달, 망막기능, 심장근육의 수축, 삼투압 조절, 생식기능의 성장발달, 면역체계의 유지 및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기능을 하는 생체 내 활성물질이다. 하지만 인체에서 생합성하는 능력이 높지않기 때문에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타우린은 아연과 힘을 합해 눈의 기능을 좋게 하고, 칼슘과 포다슘의 작용을 도와서 심장근육을 강하게 해준다. 따라서 동맥경화, 부종, 심장이상, 고혈압, 저혈당, 이상 흥분, 과행동증, 경련, 뇌 기능 저하 등에 널리 이용된다. 타우린이 두뇌와 망막, 심장 등 주요 기관의 정상적인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임신중에 타우린이 부족하면 유산하거나 사산할 확륭이 생기고 태아가 저체중이 될 수 있어 조제분유에 반드시 타우린을 첨가하도록 되어 있다.
타우린은 피로회복과 간기능 활성에 도움을 주며 기미나 주근깨를 없애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섭취하면 설사나 위궤양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최근 타우린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능을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타우린에서 삼투압조절, 항산화 작용, 해독작용, 신경조절작용 등의 효능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식품에 타우린을 보강하면 콜레스테롤 농도가 정상인 사람도 체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혈중농도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으며, 혈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하고 과도한 신경전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간질환자의 발작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당뇨병의 증상 개선에 간접적인 도움을 주기도 한다.
타우린은 피로회복제와 숙취해소 음료의 중요한 재료이기도 하다.
타우린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
1. 어패류이다. 전복, 소라, 주꾸미 등은 1,600~1,800mg 의 타우린 함유. 김에도 풍부하며 오징어에는 327~854mg/100g 이 들어있어 육류와 비교하면 약 25배에서 66배나 높은 함량을 보인다.
마른 오징어에는 물오징어보다 약 99~330배나 많은 타우린이 들어 있다. 이외에 북어,낙지, 모시조개, 굴등
2. 해조류이다.
3. 초콜릿이다.
4. 어패류 다음으로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돼지고기, 닭고기 같은 육류이다.
5. 건강음료 박카스-D의 주성분이 바로 타우린이다.
글 : 윤오복 잡지<건강한 사람들> 중에서
'건강의 재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로토닌 워킹 (0) | 2011.02.15 |
---|---|
암 전문의 유인상박사의 초청 특강 (0) | 2011.01.26 |
"소금물 코청소" 방법 (0) | 2010.12.17 |
밀려드는 송년회, 다음날 컨디션에 지장없는 음주법 (0) | 2010.12.15 |
“5mm 이하 갑상선 결절, 아무런 검사나 진단하지 말 것” (0) | 201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