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인상이 사업의 성패 결정
세일즈는 처음 고객을 방문했을 때 보여지는 첫인상에 따라 성패가 결정된다. 초면에 호감을 사면 약 70%의 성공률이 있다.
옛말에 신언서판(身言書判)이란 얘기가 있다. 사람은 모름지기 인물이 잘 나고 말을 잘 하고 글을 잘 쓰고 판단을 잘해야 한다는
뜻으로 이 네가지를 구비하면 한 세상을 살아가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혹자는 말과 글과 판단은 인간이 노력하면 얼마든지 잘 할 수 있지만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인물만큼은 어쩔 수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인물은 결코 영화배우처럼 잘 생겨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사람이 착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면 그 모습이 아무리 추하게 생겨도 보는 이에게 정감을 불러일으키는 법이다.
오히려 빼어난 용모를 부모에게 받아 태어났으면서도 행실이 추악해 타인에게 혐오감을 주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언젠가 국내의 한 수사관이 포도왕(捕盜王)이 되어 표창장을 받았을 때 기자가 도둑을 많이 잡을 수 있게 된 비결을 묻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도둑놈은 도둑놈처럼 생겨서 많은 사람들 속에서도 금방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잡는 게 쉬울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도 그럴 것이 범죄자는 주거부정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늘 잠이 부족한 데다가 항상 경찰에 쫓겨다니기 때문에 외모를 가꾸거나
복장에 신경 쓸 여력이 없는 것이다. 때문에 거리에서 단골로 경찰관들의 불심검문을 받게 되고 결국은 구속되고야 마는 것이다.
깨끗한 용모와 단정한 복장을 하고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의 주거가 일정하고 직장이 있으며 상식적이며 건실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준다.
미국의 사법제도를 연구한 어떤 형법학자는 피고가 여자일 경우 무죄판결을 받을 확률이 남자보다 30%정도 더 많다고 하며,
같은 여자일지라도 미인일 경우엔 그 확률이 무려 60% 씩이나 껑충 뛴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만큼 사람의 인상은 그의 인상은 그의 인생 향방까지도 바꿔놓곤 하는 것이다.
인간의 대뇌는 처음 입수된 것이 가장 오랫동안 기억 속에 간직된다고 한다.
더구나 사람에 대한 첫인상은 반영구적으로 망막에 각인(刻印)되는 법이다.
실제 중매 결혼을 한 지 10년 이상 된 기혼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한 바에 따르면 모두들 처음 약속 장소에 나타난 배우자의 헤어스타일과
옷차림을 어렴풋하게나마 기억하고 있었다고 한다.
사람은 누구나 상대의 첫인상이 좋지 않으면 두 번 다시 만날 생각을 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고객이 여성인 경우에는 더욱 조심스럽게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성들은 논리적인 판단에 앞서 본능적으로 사물의 본질을 순식간에 간파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요소는 첫째 그 사람의 외모, 둘째 언행, 그리고 세 번째가 그 사람이 말하는 이야기의 내용이다.
세상의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상대방이 구사하는 어휘 하나에서도 그 사람의 전모(全貌)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도 한다.
인간관계에서 가장 확실하게 신뢰감을 제고시키며 늘 변함 없이 좋은 느낌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다.
1. 약속을 잘 지킬 것 - 부지런하고 근면한 사람이 약속도 잘 지키게 된다. 일상 생활 속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간단한 시간 약속 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단위의 금전거래도 늘 깨끗하게 처리해야 한다. 또 누구에게 서약이나 맹세를 했다면 그것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2. 예의범절에 만전을 기할 것 - 정중한 몸가짐은 상대에 대한 예의다. 또한 자신감이 넘치는 태도는 얼마든지 자신을 신뢰해도 좋다는 웅변이며, 깔끔하고 단정한 복장은 그런 자기 자신에 대한 최고의 추천장이다. 옷차림이 단정치 못한 세일즈맨과 말끔한 세일즈맨이
있다면 과연 당신은 누구에게 호감을 느낄 것인가?
이두영 박사 중앙대 네트워크 마케팅 CEO 과정 주임교수
'성공인생 성공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트렌드 14가지 (0) | 2011.12.27 |
---|---|
[펌] 네트워크 마케팅만이 경제적 풍요로움을 제공해 준다 (0) | 2011.12.04 |
[펌] 스티븐 코비가 말하는 네트워크 마케팅 (0) | 2011.12.04 |
[펌] 카멜레온 네트워커가 되어라 (0) | 2011.12.04 |
[펌] 시스템의 원칙을 따르라 (0) | 201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