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을 충전해주는 공간, 서재
나에게 서재는 마법의 성과 같아요. 내가 즐겁게 취미생활 할 수 있는 놀이터도 되고, 어떤 시상이 떠올랐을 때 글을 쓰는 작업실도 되고, 좋은 책을 찾아서 읽는 독서실이며, 지인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어주기도 하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마법의 성 같은 장소이죠. 저는 수녀원에서 문서선교라는 소임을 하기 때문에 그 혜택으로 (수녀원에) 이렇게 큰 방과 책이 있는 서재를 갖게 되었어요. 그래서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활하고 있어요. 서재라는 공간은 나에게 기쁨을 재충전할 수 있게 해주는 그런 곳이에요. 문서 선교를 하고 있지만 ‘문서선교실’이라는 이름은 딱딱하다고 해서 ‘해인글방’이라는 부드러운 이름을 붙이고 거기서 주로 글 쓰고 있어요.

마음이 담긴 소중한 편지 문학
70~80년대만 해도 사람들이 손 편지를 많이 썼어요. 책을 보고 독후감도 적어 보내기도 하고, 영혼의 외침이나, 메아리를 담은 편지의 표현들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버리기가 아깝더라고요. 8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거의 30년을 모아오다 보니 이제는 많은 자료가 되어 편지 문학 이라는 장르로 논문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어떻게 할건지는 모르겠는데 내가 버리지는 못하고 그래서 (사진과 같이) 다 분류를 했어요. 노란 색은 장애를 가진 분들, 원고지 딱지를 붙인 분들은 문인들, 하얀색 종이를 붙인 분들은 수녀, 신부, 성직자들, 그 다음에 하늘색으로 딱지를 붙인 봉투에는 개인적 친분이 있는 사람들. 요즘 모든 것을 다 이메일로만 하고 손 편지를 안 쓰니까 이러한 편지들이 굉장히 귀한 자료라고 생각하고 하나하나 보관을 하고 있어요.
시와 함께하는 따뜻한 만남
어린 시절에는 <소공녀>, <소공자>, <안데르센 동화> 같은 것을 많이 읽고, 언니 오빠들이 김소월이나 윤동주의 시를 외우는 것을 들었어요. 오늘날은 유명해진 분들이 시를 많이 투고하셨던 <학원>같은 문학잡지도 보면서 나도 시를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아요. 지금은 오전 5시 반에 시작하는 아침기도부터 공동으로 보내는 하루 일과가 틀 안에 짜여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책을 읽을 수 있는 여유 시간이 넉넉하진 않아요. 그렇지만 일요일이나 휴일, 자유시간, 또는 아침 먹고 한 시간, 점심 먹고 한 시간 정도 틈틈이 책을 보거나 밤에 주로 책을 보고 있어요. 예전에는 소설이나 에세이를 많이 읽었지만, 요즘은 너무 무겁고 분량이 많은 것을 읽는 것은 건강 때문에 힘이 들더라고요. 시집은 계속 많이 발간되고 짤막짤막해서 읽기 좋기 때문에, 자투리 시간에도 읽고 잠들기 전에도 읽고 있어요. 시집의 좋은 내용은 표시해두었다가 노트에 옮겨 적거나 복사를 해서 좋은 손님들이 오면 하나씩 나누어주고 있어요. 함께 차를 마시면서 시를 읽고 그러면 마음이 풍요롭고 따뜻한 만남이 되더라고요. 책 속에 있는 글자들이 만남으로 이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죠.
아픔 속에서 경험한 글의 치유 능력

가까운 분들이 세상을 떠날 때마다 추모의 글이라고 할까, 다른 사람의 마음을 대신한 기도문을 엮으면서, 위로를 대신 받았어요. 내가 아픔을 경험하고, 슬픔을 위로하는 치유의 추모시를 쓰면서 편지도 많이 오게 되고 독자들도 부쩍 늘어난 것 같아요. 몸이나 마음이 아픈 분들이 정신적으로 위로를 받고 싶어서 많이 기대오는 것을 느껴요. 그러한 것들도 다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내 아픔을 통해서 아픈 사람과 벗이 될 수 있다면 그것도 참 고마운 일이겠구나 생각을 하죠. 내가 아플 때의 경험을 노래한 것, 슬픈 일을 당했을 때 슬픈 사람을 위로하기 위해 쓴 글을 독자들이 자신하게 하는 말인 것처럼 공감하는 것을 보면서 글의 힘, 글의 치유 능력을 다시 한번 경험하게 되었어요. 내가 더욱 겸손하게 글을 써야겠구나 생각도 하게 되고요. 그래서 기술적으로는 어떻게 논의하나 싶어서 포에트리테라피(시치유) 워크숍에도 일부러 참석도 했어요. 글의 치유의 능력이 있는 것을 알게 되고 경험하게 되니까 정말 기쁘더라고요.
슬픔을 달래줄 수 있는 소박한 노래를 쓰고파
나의 시집을 많은 독자들이 읽어 주면서 시인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지만, 언제까지나 독자로 남아있고 싶어요. 앞으로 이런 작품을 쓰고 싶다는 그런 말을 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부끄럽게 생각되거든요. 그 동안 내 시의 주제로 굉장히 소소한 일상을 담아왔지만, 제 문학을 나눠보자면 2007년도 암 투병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아무래도 아프기 전에 생각하고 표현했던 것과 아프고 나서의 인생관이 달라질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같은 사람이긴 하지만 색다른 경험을 한 것이니까요. 그래서 앞으로 바라는 것이 있다면 이 시대의 아프고 슬픈 사람들을 대변해줄 수 있는 소박한 노래들을 더 많이 쓰고 싶어요. 또 도전해보지 않은 동화 같은 장르도 써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도 해보고요, 가능하다면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내 삶을 시로 한번 정리해볼까도 생각해요. 자전적인 것을 소설로 풀어내는 것이 아니라 10대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삶의 모습을 시로 한번 정리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곤 해요.
는
'책 읽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석재의 서재는 영혼의 거실 혹은 교실이다. (0) | 2012.06.17 |
---|---|
유홍준의 서재는 작업실이다. (0) | 2012.06.17 |
김제동의 서재는 사람을 만나는 곳이다. (0) | 2012.06.17 |
장한나의 서재는 매력적인 여행지다. (0) | 2012.06.17 |
정재승의 서재는 일요일 오후의 공동묘지이다. (0) | 201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