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작가권영애의 건강노트 KH

한지작가권영애

한지작가 권영애의 건강노트KH

건강의 재발견

성공하려면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라

한지톡톡권영애 2009. 3. 30. 20:46

성공하려면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라

 

어려운 환경에서 일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쌓인다고 많은 사람들이 불평한다. 어렵고 힘든 일을 하며 상사로부터 꾸지람 듣고 스트레스가 쌓였는데 어떻게 하면 좋으냐고 물어 온다.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길이 있다. 엄밀히 따지면 스트레스는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서 온다. 외부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데서 스트레스가 생겨나는 것이다. 외부의 현상은 스트레스의 계기는 되어도 동기는 아니다. 외부의 현상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대처하면 스트레스가 더욱 더 쌓이게 된다.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 요인을 알아내야 한다. 스트레스가 만들어지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인생의 의미와 목적의 결여이다. 인간은 목적을 지향하는 존재로, 중요한 목표를 세우고 점진적으로 나아갈 때, 행복과 성공을 인식한다. 목표를 세울 때, 비로소 인생의 의미와 방향과 힘과 열정이 생기고, 신나게 살아갈 수 있다. 불행한 사람은 대개 확고 부동한 신념과 목표가 없다. 확고한 목표를 세우고 줄기차게 실천할수록 스트레스는 미연에 방지된다.

둘째, 미완성의 작업은 스트레스의 요인이므로 미루지 말고 최선을 다해 달성해야 한다. 일을 시작했는데 마무리하지 않고 내버려두거나 중도에 포기해 버리면, 원래 완성을 지향하던 마음이 충동과 갈등을 일으켜 언짢아진다. 학생들이 숙제를 하지 않고 놀면 마음껏 즐겁게 놀지 못하는 것도 이와 같은 현상 때문이다. 무슨 일이든지 종결을 짓지 못하고 지체하면 스트레스를 자초한다. 오늘 할 수 있는 일을 내일로 미루면 양면으로 손해다. 일이 지연되어 손해고, 스트레스가 생겨 손해다. 내일로 일을 미루는 버릇은 시간 도둑일 뿐만 아니라 인생 도둑이며, 스트레스의 요인이다. 반면 일을 미루지 않고 제 시간에 완성하면, 우선 기분부터 상쾌해진다. 다소 힘이 들어 피곤할지라도 일을 성취했다는 보람을 느끼며, 또다른 일에 대한 새로운 동기가 생기고, 의욕이 넘치는 가운데 목표 달성을 위해 도전하게 된다.

셋째, 실패의 두려움이 스트레스를 조장한다. 조건 반사적인 공포 의식은 유년 시절부터 쌓여 온 부정적인 정신적 습관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지속적인 도전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 마크 트웨인은 “두려워하는 일을 실제로 행하면 두려움이 사라진다”라고 말했다. 긍정적인 정신 자세로 도전해야 한다.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된다! 된다! 된다!”라고 자기 선언과 다짐을 계속하며, 가능성의 정신적 감정을 강화하고 약한 감정을 제압함으로써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넷째, 배척의 두려움이 스트레스를 조장한다. 배척의 두려움은 부모나 사회적 지도자가 파괴적인 비판을 가하고 조건적인 사랑을 주었기 때문에 생긴 부정적 감정이다. 자기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긍정적인 정신 자세를 배양해 미성숙기의 잔재인 배척의 공포를 이겨내야 한다. 또 파괴적인 비판을 가했던 모든 사람들을 용서해 주고, 긍정적이며 주체적인 정신 자세를 함양해야 한다.

다섯째, 현실을 부정하려는 태도는 스트레스의 요인이다. 자기의 능력이나 개성, 재능, 인간 관계의 미비점 등을 솔직히 시인해야 한다. 완전한 사람인 척하는 것은 오만이다. 자기가 완전하다고 믿는 사람은 그 교만함 때문에 크게 성장할 수도 발전할 수도 없다. 자기의 미흡한 점을 알고 자기를 용서하듯이 남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 사실은 사실대로, 현실은 현실대로 인정하는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

여섯째, 화내는 것은 스트레스의 요인이다. 화는 남을 탓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화를 다스리는 길은 자기가 완전한 책임을 지는 태도에 있다. 화를 자주 내는 것도 습관이다. 그만큼 미숙하다는 뜻이다. 화를 낼 때마다 화를 다스리는 저항력이 줄어든다. 화내기를 반복하면 습관이 되고, 결국 성격으로 굳어지게 된다. 화를 낼 만한, 화가 날 만한 처지에서도 화를 내지 않고 이지적으로 대화하면 화를 완전히 정복할 수 있다. 이상의 여섯 가지 스트레스 요인은 행복한 삶을 살고자 하는 우리들에게는 가장 큰 장애물이다. 성공을 위해 장애물을 과감히 깨뜨리자. 가장 좋은 방법은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그리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스트레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목표를 이루기 위한 목표 지향적 스트레스이다. 목표 지향적 스트레스는 좋은 것이다. 목표 지향적인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그 스트레스를 정복해 가며 큰일을 하나씩 하나씩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우종철(국제성공과학연구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