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의 세계로 구현한 삶의 율동
한지는 한국역사와 함께 해온 문화의 정체성이자 독자성이라 할 수 있다. 서지(書誌)의 질료로서의 한지뿐만 아니라 가옥의 장판이나 공간을 밝히는 창호지는 외부로부터의 보호이자 우리의 삶과 정서를 베양하고 풍부하게 가꾸는 매개체였다. 문복철은 한지회화의 가능성과 질료로서의 회화가 갖는 미적 아름다움의 탐색과 추구에 천착해온 작가이다. 그는 1962년 국전에 입선함으로써 화단에 이름을 알렸으며 2003년 작고 할 때까지 약 40년의 작품 활동을 보이며, 한국현대미술의 변화와 발전에 궤를 같이 한다. 그는 1991년 스위스에서 있었던 국제종이조형협회(IAPAM)에 초청작가로 초대됨으로써 한지화가로서의 입지를 다진 듯하다. 그의 화작이 이루어진 전(全)시기를 미술사적으로 본다면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작가라고 하겠지만, 엄밀히 말하면 한국적 정체성을 추구해온 민족성이 강하게 반영된 작가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의 활동 시기는 앙포르멜과 네오, 다다적인 성향을 반영했던 초기(1962-1978)와 단색조의 본격적인 한지 작업이 완성되는 중기(1979-1987), 모노톤의 전면회화에서 탈피하여 회화적 공간과 표현으로서의 한지회화의 모색을 추구하는 후기(1988-2003)의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의 초기작들이 당시의 서구 미술사조의 영향아래 실험성을 선보인 것이라면, 중기와 후기의 작품들은 한지를 통한 한국적 정체성을 모색하고 이해하며 완성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것이다. 사실 그의 화작의 절정기라면 1996년의 「삶의 소리」에서 화려하게 선보인 대작의 작품들일 것이다. 역동하는 생의 환희가 구현된 화면 속에는 육자배기, 아리랑과 같은 질펀한 질곡의 민족의 소리가 배어있다. 그래서 그의 화면은 그림 속에 온전히 몰입한 민족의 숨소리를 느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깊은 감동을 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문복철의 회화의 오랜 항해는 시각과 촉각, 표면과 공간, 있음과 없음 그리고 삶과 자연, 우주와 존재에 관한 끊임없는 문답의 결과들이다. 그 결과들은 미묘한 우주의 파동과 생의 율동으로 일관되게 드러난다. 그 세계는 너무도 깊고 아득하여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별처럼 관자의 마음에 스치운다.
長江 박옥생 / 미술평론가, (재)한원미술관 큐레이터
전시개요
- 전시제목 : 한지화가 문복철 추모전 《별을 사랑한 화가》
- 전시기간 : 2010.5.22(토)~2010.6.3(목)
- 초대일시 : 2010.5.27(목) 16:00
- 관람시간 : 10:00~18:00
- 휴관안내 : 매주 월요일 및 공휴일 휴관
- 참여작가 : 문복철 Bockcheol Moon
작품보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고해상으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작가 프로필
학 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10 한지화가 문복철 추모전: 별을 사랑한 화가, (재)한원미술관, 서울
1999 종로갤러리, 서울
1996 서울 미술회관, 서울
1992 문복철 초대전, 얼 화랑, 전주, 한국
1989 문복철 초대전, Love Collection Gallery 명고옥, 일본
1989 문복철 초대전, Art House Gallery 반전, 일본
1988 문복철 초대전, 백송화랑, 서울
1983 문복철 초대전, 현산미술관, 광주, 한국
1983 문복철 수·지의 대류전, 서울 신탁은행, 군산, 한국
1979 서울 미술회관, 서울
1976 제일화랑, 군산, 한국
단체전
2003 한지조형작가 기획초대전, 갤러리 라메르, 서울
신소장품 2002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02 조화와 상생전-인간,자연,역사,평화, 제주도 문예회관, 제주
2001 문복철 한지작업 매입소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지2001, 바탕골 미술관, 서울
2000 종이에서 조형까지-한국한지 작가 10년 논문집 발간및 심포지움
종이에서 조형까지,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국제종이조형협회 회의참가 ‘2004’전주대회유치, 이태리
한지-21세기 한국성, 인사동 갤러리, 서울
1998 한지- 조형적해석, 워커힐미술관, 서울
1996 제12회 무등미술대전 초대작가전, 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제30회 한국미술협회전, 한가람 미술관, 서울
제29회 군산종합예술제, 시민문화회관, 군산, 한국
제12회 남부현대미술제, 아라리오 미술관, 천안, 한국
제2회 연태-군산교류전, 시립박물관, 중국연태시, 중국
한지-그 근원의 미학, 다도화랑, 서울
스페인 바젤 국제 종이 조형협회 참석, 바젤
제28회 전북미술대상전 초대작가전, 예술회관, 전주, 한국
1995 지